컨텐츠 내용
- 수강신청
- 과정정보
수강신청
생명존중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제

학습목표
자살충동은 단순히 병증이 아니라, 언어 이전의 심리적 공백과 감정의 침묵, 그리고 의미화되지 못한 신체감각의 붕괴 속에서 나타나는 실존상황성의 균열로 파악된다. 이에 본 강좌에서는 죽음학에서 제시하는 '부정성(negativity)' 개념을 통해, 자살 충동이 하나의 죽고 싶음'이 아니라 '살 수 없음을 말하지 못하는 자리'에서 발생하는 현상임을 분석한다. 실존정신언어분석은 자살충동자의 발화 구조를 감응, 실존상황,③발화, ④증상, 회복의 단계로 분석하며, '발화하지 못함'과 '침묵'에 머무는 윤리적 언어공백의 분석을 통해 자살충동을 병리적 이상이 아닌 실존적 요청과 발화 이전의 진실로 재구성한다. 그 지점에서 기존 행동중심적 프로그램이 간과한 실존 감응 회복을 통해, 생명존중 • 자살예방에 대한 근본적 대안을 구체화할 수 있다.